프론트엔드 서비스팀으로 SI 프로젝트 신규개발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였습니다.
백엔드 서비스팀으로 SI 프로젝트 신규개발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였습니다.
서울시 지하철을 이용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엘리베이터 정보 제공 서비스입니다.
react
로 구성된 프로젝트를 서비스를 준비하며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해 next.js
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kakao map api
로 구현된 지도 및 마커를 naver map api
로 마이그레이션
react-query
를 적용하여 server state cacheframer-motion
을 사용하여 부드럽게 개선Next CSS-in-JS
styled-components
가 적용되지 않는 이슈가 발생했습니다.pre-rendering
을 합니다. 페이지가 미리 렌더링 되기 떄문에 스크립트로 작성된 스타일이 바로 적용되지 않고 렌더링 되는 이슈가 발생합니다.다른사람의 코드를 한 줄 이라도 더보자
배포는 시작과 동시에 (CI/CD)
뚜벅이 여행자들을 위한 제주 여행 경험 공유 서비스입니다.
styled-components
를 사용kakao map api
를 사용하여 버스의 정류장을 마커로 구현vercel
을 이용하여 배포여행할때 필요한 숙소를 쉽게 비교하고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
figma
를 사용하여 디자인 레이아웃 제공kakao map api
를 사용하여 위치와 정보를 지도의 마커로 구현kakao local api
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JWT
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구현하였으며 Recoil
과 LocalStorage, SessionStorage
로 상태를 관리typescript
를 사용하여 협업을 하며 필요한 안정성과 명확한 코드를 작성OAuth 로그인 방법
클라이언트에서 OAuth Login을 구현 => token으로 서버 API 호출 => 서버에서 전달 받은 token으로 다시 OAuth 인증 => 인증완료시 서버에서 JWT토큰을 발급
신체 정보를 넣으면 BMI를 자동으로 계산해주고, 목적에 맞는 운동을 선택하면 꼭 맞는 운동 루틴을 추천해주는 서비스입니다.
styled-components
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인터렉션을 구현recoil
을 사용nginx
로 클라우드 배포CORS
nginx
로 클라우드 배포를 진행하였고, proxy를 설정하여 API를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.TABTAB은 평소에 하지 못하는 표현이나, 대화를 하고 답장을 하기에 부담스러운분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. 간단한 이모티콘과 텍스트로 쪽지 푸쉬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.
next.js
를 사용하였습니다.next-auth
를 사용하여 세션을 관리하였습니다.tailwind
를 사용하였습니다.web notification api
을 적용하였고 firebase에서 제공하는 FCM
을 사용하여 구독서비스를 구현했습니다.
PWA
를 적용하였습니다.firestore-database
를 사용하였고, 추가 구현없이 쉽게 DB를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.tailwind의 동적 스타일
tailwind는 동적으로 생성된 클래스는 인식하지 않는다
되어 있었습니다.PWA Notification permission
Apple은 개인정보에 관련되어 매우 엄격한 보안정책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에 정보 요청을 사용자의 상호작용 없이는 실행할 수 없었습니다.
음악을 검색하고 플레이리스트에 저장하고 들을 수 있는 뮤직 플레이어입니다.
express
로 서버를 구성하고 템플릿 엔진으로 ejs
를 사용했습니다.
scss
를 사용하여 component와 view로 나누어 style을 관리하였습니다.last.fm API
에서 제공받은 앨범, 아티스트 데이터를 mongoDB
에 추가하여 관리하였습니다.Youtube API
로 영상을 검색하여 음원을 재생하였습니다.